미나토 가나에 『모성』
작가 소개
사람과 사람 사이의 관계를 현미경 같은 시선으로 잔혹하리만치 집요하게 묘사하는 일본의 추리 소설가. 1973년 히로시마 현에서 태어나 학교 도서관에 틀어박혀 에도가와 란포와 아카가와 지로의 소설을 읽는 ‘공상 좋아하는 아이’로 자랐다. 대학교를 졸업하고 의류회사에서 일했지만 1년 반 만에 퇴사하고 향한 곳은 남태평양의 오지 통가. 그곳에서 청년 해외 협력대 대원으로 2년간 봉사활동을 하며 자신의 상식이 반드시 세상의 상식은 될 수 없음을 뼈저리게 체험했다. 귀국 후에는 효고 현의 고등학교에서 근무했다.
서른 살을 맞아 글쓰기라는 새로운 영역에 도전한 미나토 가나에는 단시(短詩), 방송 시나리오, 소설에 이르기까지 분야를 넘나드는 전방위적인 집필을 시작했다. 2005년 제2회 BS-i 신인 각본상 가작 수상을 시작으로, 2007년 제35회 창작 라디오 드라마 대상을 수상하는 등 방송계에서 먼저 주목받으며 스토리텔러로서의 역량을 드러냈다. 같은 해, 『고백』의 모티브가 된 단편 「성직자」를 발표, 제29회 ‘소설 추리’ 신인상을 수상하며 작가로 정식 데뷔한다.
이 책을 읽은 이유
왠지 감성팔이 제목이라 읽기 싫었는데
미나토 가나에의 작품이라 보기로 했다.
내용 소개
다세대 주택에서 뛰어내린 한 여고생의 기사로 시작되는 이 이야기는 엄마의 고백과 딸의 회상이 서로 교차하며 사건의 진실을 더듬어 가는 방식을 띈다. 산사태와 화재로 인해, 아름다운 집과 함께 무조건적인 사랑을 베풀던 외할머니가 사라져 버리고 난 뒤 많은 것이 달라진다.
자신의 어머니를 지나치게 사랑했지만 딸에게는 애정을 느끼지 못하는 엄마와 그런 엄마에게 끊임없이 사랑을 갈구하는 딸의 엇갈린 마음을 그린 이번 소설은 수많은 문학, 예술 작품에서 이야기 하는 ‘위대한 모성’, ‘애뜻한 모녀의 정’과는 궤를 달리 한다. 오히려 ‘모성은 본능인가?’라는 도발적인 질문을 던지며 파국으로 치닫는 한 가정의 모습을 재구성하고 있다.
감상
딸이 자택 4층에서 뛰어내린 것으로 시작
그리고 엄마의 회상과
딸의 회상이 번갈아 나오며 진행된다.
사고는 딸과 할머니가 같이 있을때 발생한다.
엄마는 할머니보다는 딸을 먼저 살려
할머니는 결국 죽게 되는데
그 날 이후로 딸은 내가 죽었어야 하는건 아닐까
라는 생각을 하게 된다.
실제로 딸은 기억하지 못하지만
엄마는 할머니를 먼저 구하려 했다.
하지만 할머니의 반대로 딸을 결국 구한다
그리고 엄마는 회상한다.
딸을 소중하게 기른 이유는
그것이 엄마의 마지막 소원이었기때문
결과적으로 딸, 엄마 모두 죄책감을 가지고 있다.
딸은 나 대신 할머니가 사망한 것으로
엄마는 내가 진정으로 딸을 사랑해서 딸을 구한건지
하지만, 엄마와 딸 모두 서로서로에게 최대한 잘 해주려고
노력을 한다.
하지만, 그 모든 것이 대화없이 자신만의 관점에서
하는 것이기때문에 조금씩 조금씩 어긋나고
오해를 산다.
서로 이렇게 오해가 쌓여갈때쯤
딸은 뜻밖의 소식을 듣게 된다.
할머니가 딸을 먼저 구하려고 해
엄마가 딸을 구한 것이 아니라
할머니가 딸을 구하라고 한 뒤
혀를 깨물어 자살한 것
엄마는 자기도 모르게 자고 있는 딸의 목을 조른다.
딸이 깨어나면서 실패로 돌아가고,
조금 있다 딸은 집 앞 마당에서 목을 맨다.
엄마한테 미움받는 딸이 되기 싫다고
그때서야 엄마는 깨닫는다.
지금까지는 할머니의 당부때문에
딸을 키웠었는데
이제야 내가 딸을 사랑하는 것을
드디어 모성을 느낀다.
딸도 그만큼 할머니를 사랑했기때문에
엄마의 마음을 이해한다.
엄마도 할머니한테는 딸이니까.
시간이 지나 딸은 결혼하고 임신도 한다.
엄마는 할머니가 되어 딸을 사랑한다.
딸은 엄마가 되어 그때 당시의 엄마를 이해하고 사랑한다.
이 책의 평점
★★★☆☆ 3 / 5점
일단, 이런 류의 작품을 별로 좋아하지 않는다.
슬픈거 애틋한거
거기에 딸과 엄마의
미묘한 관계를 주로 다루는 작품이다보니
나는 그냥 그랬다
'사랑을 애타게 원하던 딸이 애타게 원하던
사랑을 자식에게 주려는 엄마가 된다.'
『모성』